의료비 부담은 많은 가족들에게 큰 걱정거리입니다. 특히, 소아나 성인 암환자와 그 가족들은 그 부담이 더욱 커집니다. 정부에서는 이에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본 글에서는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에 중점을 두어 어떻게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소아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1.1 지원 대상자 선정 기준
1) 의료급여 수급자
의료급여 수급자로 등록된 소아 암환자는 자동으로 지원 대상자로 선정됩니다.
2)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대상자
소아 암환자 중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대상자로 등록된 경우에도 지원 대상으로 선정됩니다.
1.2 소아 암환자 의료비 지원에 대한 소득 및 재산 기준
가구의 소득과 재산에 따라 소아 암환자 지원 대상자를 선정하는데, 가구 인원에 따른 구체적인 기준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와 4인 가구의 경우에는 각각 다른 소득과 재산 기준이 적용됩니다.
[소아 암환자 의료비 지원에 대한 소득 기준]
가구 인원 | 소득 기준 (원/월) |
---|---|
1인 가구 | 2,493,470 |
2인 가구 | 4,147,386 |
3인 가구 | 5,321,779 |
4인 가구 | 6,481,157 |
5인 가구 | 7,596,826 |
6인 가구 | 8,673,577 |
7인 가구 | 9,729,018 |
8인 가구 | 10,784,459 |
* 8인 이상 가구의 경우, 1인 증가 시마다 1,055,441원씩 증가
[소아 암환자 의료비 지원에 대한 재산 기준]
가구 인원 | 재산 기준 (원) |
---|---|
1인 가구 | 221,795,453 |
2인 가구 | 261,457,698 |
3인 가구 | 289,620,604 |
4인 가구 | 317,423,424 |
5인 가구 | 344,178,072 |
6인 가구 | 369,999,453 |
7인 가구 | 395,309,784 |
8인 가구 | 420,620,115 |
* 8인 이상 가구의 경우, 1인 증가 시마다 25,310,331원씩 증가
1.3 지원 범위와 금액
1)지원 범위
- 소아 암환자 의료비 지원은 다양한 항목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 법정 본인부담 의료비:의료 서비스 중 법정 본인부담 의료비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 비급여 항목의 본인부담 의료비: 비급여 항목 중 환자가 직접 부담하는 비용이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 희귀의약품 구입비:희귀한 질병에 사용되는 특수한 의약품에 대한 구입비용이 지원됩니다.
- 조혈모세포 이식관련 의료비: 조혈모세포 이식에 필요한 의료비용이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 암치료에 직접 소요되는 필수 치료재료대: 인공뼈, 인공 안구, 인공삽입물, 제대혈 등 암치료에 필수적인 치료재료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 항암 치료 부작용 중 탈모로 인한 가발 구매비: 항암 치료로 인한 탈모로 인한 가발 구매에 대한 비용이 지원됩니다.
- 암 치료 관련 성형 치료비: 암 치료 후 발생하는 성형 치료에 대한 비용이 포함됩니다.
- 담당 의사 소견서가 있는 암 치료 관련 치과 치료비: 담당 의사의 소견서가 있는 치과 치료비가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2)지원 금액
지원금액은 암종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연간 최대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백혈병:연간 최대 3천만원 (진료발생일 기준)까지 지원됩니다.
- 기타 암종: 연간 최대 2천만원 (진료발생일 기준)까지 지원됩니다.
- 백혈병 이외의 암종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경우: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됩니다.
2.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2.1 지원 대상자 선정 기준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 의료급여 수급자: 의료급여 수급자로 등록된 성인 암환자는 자동으로 지원 대상자로 선정됩니다.
- 건강보험 가입자: 건강보험에 가입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암환자가 지원 대상입니다.
2.2 국가암검진을 통한 신규 암환자 지원
국가암검진을 통해 신규로 암환자로 확인된 경우와 과거 국가암검진을 통해 만 2년 이내에 암진단을 받은 경우가 지원 대상입니다.
2.3 지원 금액과 기간
- 의료급여 수급자: 연간 최대 300만원까지 3년간 급여·비급여 구분 없이 지원됩니다.
- 건강보험 가입자: 연간 최대 200만원까지 3년간 본인 일부부담금을 지원합니다.
- 지원 기간: 연속 3년간입니다.
>>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브레인 포그 뜻, 증상 알아보고 자가진단 및 브레인스모그 치료하기
피곤하고 머리가 무겁고 컨디션이 안 좋은 적이 있으시죠? 현대 사회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피로로 인해 뇌 피로 증상인 브레인 포그가 더욱 증가하고 있습니다. 뇌가 피로한 브레인포그, 브레인
irangorang.tistory.com
항히스타민제 종류, 부작용 알아보기
알레르기 반응 때문에 코막힘이나 눈물, 재채기 피부 가려움증으로 고생해 본 적 있으시죠? 환절기가 되면 알레르기 증상이 더 심해지는데요. 이럴 때 항히스타민제를 많이 복용하게 됩니다. 그
irangorang.tistory.com
'건강정보 > 몸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로바이러스 기본정보(ft. 특성, 증상, 감염경로, 전염성, 예방법 ) 총정리 (0) | 2024.01.25 |
---|---|
코막힘 뚫는법 원인과 해결방법 5가지 (0) | 2023.12.30 |
브레인 포그 뜻, 증상 알아보고 자가진단 및 브레인스모그 치료하기 (0) | 2023.12.14 |
공복 소금물로 좋은 용융소금 추천 : 인산9회 자죽염 내돈내산 후기 (1) | 2023.12.10 |
콘드로이친이란? 연구 결과로 확인 된 효능 (0) | 2023.11.30 |